본문 바로가기
캠핑

캠핑용 화목난로 연통 설치 가이드

by 버라흐 2021. 12. 5.
반응형
반응형

따뜻한 동계캠핑을 위해 화목난로까지 선택을 마쳤으면, 필수 구성품인 연통에 대해서 얼마나 어떻게 설치를 해야 할지 막막해진다. 캠핑용 화목난로 연통 설치에 대해서 알아보자.

연통 설치시 고려사항

  • 장작만 사용할 것인지 펠렛도 사용을 하는지
  • 강제배기로 할 것인지 자연배기로 할 것인지
  • 텐트에 홀잭을 뚫어서 연통을 뺄 것인지, 홀잭이 없어서 텐트 지퍼 사이로 연통을 뺄 것인지
  • 연통의 종류: 이중연통, 엘보 연통, 암수 구분, 연통의 크기, 연통의 길이, T자연 통, 불티 방지캡, 삿갓 연통

 

장작 vs 펠렛

장작만 사용한다고 하면 2~3미터만 난로를 올려도 난로에는 문제가 없다. 불티가 날릴 수 있으니 불티 방지캡이나 삿갓 모양의 연통을 끝에다 끼워 줘도 괜찮을 것 같다. 하지만 펠렛을 사용하는 경우는 배압을 위해 최소 6m 이상 연통을 올려야 한다. 배압이 낮아지는 경우 연통으로 연기가 빠지지 않아서 텐트 안에 연기가 퍼질 가능성이 높다.

강제배기 vs 자연배기

흡출기를 연통에 연결하여 텐트 밖으로 연기를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는 전기적 장비를 이용해 강제배기를 활용할 수 있다. 연통을 길게 챙기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지만, 캠핑장의 전력 사정에 의해 전기가 끊길 경우 강제배기가 멈추게 되므로 즉시 역화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흡출기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연통을 높게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또는 캠핑장에 전기가 차단되더라도 일시적으로 전력 공급이 유지되는 장비(UPS 장비)를 같이 구비하여 설치하는 것이 안전하다.

연통용 홀잭 vs 텐트 지퍼

텐트에 연통 홀잭이 없으면 텐트 출입문 한쪽 지퍼 잠기는 틈을 이용하여 연통을 뺄 수 있다. 이 경우 연통과 만나는 텐트 지퍼 부분이 고열에 의해 녹을 수 있기 때문에 방염조치를 필히 하여야 한다. 이 경우 스킨 세이버와 이중연통을 사용하여 텐트가 불에 녹지 않도록 최대한 보수적으로 조치를 하여야 한다. 난로에 불이 시뻘겋게 달아오를 경우 연통도 똑같이 달아오르기 때문에 실리콘이나 방염포 등으로는 위험할 수 있으니, 스킨세이버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텐트에 연통 홀잭이 있으면 연통을 설치하기 수월하다.

텐트에 연통 홀잭이 있으면 연통 자리를 잡아 놓을 수 있어서 난로의 위치를 고정적으로 잡아 놓을 수 있지만, 반대로 난로의 위치를 바꿀 수 없는 게 단점이다. 한번 홀잭을 뚫을 때 난로의 위치를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특히 펠렛을 사용하게 되면 난로 위로 펠렛통을 올리게 될 텐데, 펠렛통의 위치가 텐트 지붕이나 텐트 사이드에 비해 낮게 설치가 될 수 있도록 고려해야 할 것이다. 펠렛통이 생각보다 높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설치한 사진이나 영상을 참고해보는 것도 좋겠다.

연통의 종류

  • 이중연통, 엘보 연통, 암수 구분, 연통의 크기, 연통의 길이, T자연 통, 불티 방지캡, 삿갓 연통

이중연 통의 경우 일반 연통에 비해 안전하지만 뚫린 구멍 사이로 뜨거운 열기가 장난 아니므로 그냥 손으로 만지면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엘보 연통은 L자 모양으로 연통의 방향을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연통을 양쪽에 꽂아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해 구부리거나 펼치면 L자 연통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래도 직각을 유지하는게 배압에 가장 유리하다.

연통이 굵을수록 배압이 좋은데 캠핑용 난로는 주로 80ø(파이)와 75ø(파이)를 이용해서 80ø 연통에 75ø 연통을 삽입해서 부피를 줄여서 들고 다닌다. 75ø 연통보다 더 지름이 작은 연통을 이용해 수납을 더 용이하게 하는 경우가 있는데 연통의 굵기는 배압에 영향이 있기 때문에 75ø보다 작은 지름의 연통은 사용할 때 역화의 위험이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연통에는 암수 방향이 있는데, 넓은 쪽을 암 좁은 쪽을 수라고 한다. 난로에 사용하는 장작이 충분히 마르지 않을 경우 목초액이 발생할 수 있다. 목초액이 연기와 함께 연통을 타고 올라가다가 식어서 다시 연통을 타고 흐르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연통은 되도록이면 아래쪽을 수 방향, 위쪽을  암 방향으로 해서 연통을 올리면 연통 바깥쪽으로 목초액이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통 끝에 T자 연통이나 불티방지캡이나 삿갓 연통 등 빗물 유입도 방지하고 불티도 방지할 수 있는 여러 모양의 연통을 끝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펠렛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압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므로 굳이 설치할 필요는 없다.
비가 오는 경우는 맨 아래쪽 연통을 빼서 바닥에 내려놓거나 쟁반에 받쳐 놓으면 된다.

연통 설치 시 주의점

연통 안에 청소솔이 들어 있는 경우가 흔하다. 연통으로 연기가 빠져나가지 못해 불도 제대로 붙지 않고, 연기가 텐트안에 가득하게 되므로 제일 먼저 연통안에 머가 들어 있는지 설치 전 꼭 확인을 하도록 한다.
연통도 시즈닝 작업이 필요하다. 처음 난로나 연통을 사용하면 코팅된 상태로 유해가스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환기가 잘되는 곳에서 10분~20분 정도 태워주는 시즈닝 작업이 필요하다. 시즈닝을 못하더라도 텐트의 창을 열어놓고 난로를 사용하면 된다.
연통이 잘 안 빠지는 경우 식용유를 사용하면 잘 빠진다. 열기로 인해 연통이 늘었다가 식으면서 연통이 수축하게 되면서 서 연결된 연통이 잘 안빠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이음새 부분에 식용류를 뿌려주고 흔들면 잘 빠진다.

 

 

 

캠핑용 화목난로 길라잡이

등유난로나 등유 팬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등유 냄새가 차와 텐트 등 온 동네 가득히 퍼져서, 캠핑 내내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 두통을 피하고 불멍도 하고 따뜻한 겨울 캠핑을 지내기 위해서 화

barrach.tistory.com

 

캠핑용 화목 난로 추천

캠핑용 화목 난로 추천 캠핑용 화목난로는 쓰는 목적에 따라 실외용 난로와 실내용 난로로 구분할 수 있다. 전천후로 사용하고 싶다면 실내용 난로를 사라고 권하고 싶다. 얼마 전 친한 지인이

barrach.tistory.com

 

캠핑용 화목난로의 구성

화목난로의 구성 첫 번째: 난로  앞서 추천했던 화목난로의 특징은 기밀이 좋아서 실내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불보기 창이 있어서 텐트 안에서 불멍을 할 수 있으며, 화실이 적절한 크기라 열기

barrach.tistory.com

 

화목난로를 중고로 살 경우 주의점

캠핑용 화목난로는 불의 특성상 한 번만 사용을 해도 사용감이 있을 수밖에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반대로 잘 관리만 한다면 몇 년을 써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는데, 중고로 난로를

barrach.tistory.com

 

캠핑용 화목난로 연통 설치 가이드

따뜻한 동계캠핑을 위해 화목난로까지 선택을 마쳤으면, 필수 구성품인 연통에 대해서 얼마나 어떻게 설치를 해야 할지 막막해진다. 캠핑용 화목난로 연통 설치에 대해서 알아보자. 연통 설치

barrach.tistory.com

 

화목난로 열량 계산 방법

화목난로의 열량이 어느 정도인지 알고 싶은데, 공식적으로 나와 있는 곳이 없다. 난로의 상태 그리고 장작 또는 펠릿의 투입량에 따라 화력이 달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열량을 산출하기 어렵기

barrach.tistory.com

 

동계캠핑 난방대결 화목난로 vs 등유난로

동계캠핑 난반대결에 앞서 화목난로는 장작이 아니라 펠렛을 주 목재원료로 가정하고 등유난로와 비교를 해보고자 한다. 캠핑 화목난로에 불을 땔 때 장작을 사용한다면 최소 10분이나 15분에

barrach.tistory.com

 

취침이 가능한 캠핑용 조립식 화목난로 추천

캠핑용 화목난로의 조건은 가볍고, 튼튼하고, 수납이 좋아야 하며, 예쁘고, 이동이 쉬워야 한다. 거기다 성능이 우수해서 취침에도 사용할 수 있는 난로가 있다면 그건 누가 뭐라고 해도 최고의

barrach.tistory.com

 

캠핑용 화로대 사용기

캠핑에 빼놓을 수 없는 불멍. 불멍을 하기 위해서 화로대를 준비해야 하는데, 캠핑용으로 나온 화로대의 종류는 너무나 다양하고 목적도 천차만별이다. 그렇다고 아무거나 사기엔 이중 지출될

barrach.tistory.com

 

캠핑용 화로대 사용기 2번째

화로대라고 하면 그냥 불멍을 위한 용도로 쓰겠지만, 요리용으로 사용하는 화로대도 있는데 불멍과 요리 두 가지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었던 것들로 만족하며 사용하고 있는 것들이다. 요리가

barrach.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