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스마트 스토어8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위탁 판매는 대량 등록이 효과적일까 스마트 스토어를 시작하는 사람들의 목적과 목표는 다를 수밖에 없다. 대박의 꿈을 가지고 스마트 스토어로 대박을 노리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지만, 어디까지나 부업으로서 최소한의 시간을 투입하여 최대한의 효과를 노리는 나 같은 사람들의 전략은 다를 수밖에 없다. 전략 1. 소비자에게 최대한의 노출 전략 한가지 상품을 소비자에게 최대한의 노출이 되기 위해서는 나의 브랜드가 유명하거나, 상품이 우수하거나, 가격이 싸거나, 옵션이 좋거나 여러 가지 조건이 있을 수 있겠다. 그러한 상품을 연구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을 투입하여 마케팅적인 요소를 반영하여야 하며, 전문가적인 스킬을 요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당장 스마트 스토어를 시작하는 우리 같은 초보자가 접근하는 방법은 한 가지 상품을 노출하는 방법은 조금 더.. 2022. 7. 31.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자동수거 예외처리 방법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를 운영하는 사람들이 걱정하는 부분 중에 하나가 CS라고 할 수 있다. CS는 전문적인 용어로 customer service의 약자로 고객서비스센터, 쉽게 말해 이마트의 고객서비스센터 같은 개념이라고 보면 되겠다. 하지만 우리와 같이 위탁판매를 하는 경우 우리는 그 물건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는 부분이 상당히 제한적이고, 대부분의 내용은 환불이나 반품 또는 교환으로 이뤄지는 것이 보통이다. 고객은 반품하고자 하는 경우네이버페이 택배 예약 서비스를 통해 자동수거 예약을 걸 수가 있다. 자동수거 접수 시 소비자가 등록되어 있는 네이버의 반품 택배사로 제고 기사가 수거해서 가져다준다. 저렇게 처리가 될 경우 위탁판매를 하고 있는 우리에게 문제가 발생하는데, 반품이 설정되어 있는 우리의 주.. 2022. 7. 24.
스마트 스토어 간이사업자 부가세 신고 스마트 스토어를 운영하고 매출이 발생하고 있는 사업자는 부가세를 신고하여야 하는데, 영리 목적 유무와 상관없이 모든 사업자는 부가가치세를 신고 납부할 의무가 있다. 예외로 법령에 따라 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사업만을 영위하는 경우에는 부가세 신고납부 의무가 없다. 간이과세자의 경우는 세금 납부할 의무는 면제되지만, 신고는 해야 한다. 즉 실적은 없더라도 신고의무는 있기 때문에 신고하는 것이 원칙이다. 물론 실적이 없는 경우 매출액이 없기 때문에 가산세는 나오지 않는다. 일반과세자는 10%의 세율이 적용되지만, 물건 등 구입하면서 받은 매입세액을 전액 공제받을 수 있다. 연간 매출액이 8천만 원 이상으로 예상되거나, 간이과세가 배제되는 업종 또는 지역에서 사업하는 경우 일반과세자로 등록하여야 한다. 간이과세.. 2022. 7. 2.
스마트 스토어 첫주문의 짜릿함 스마트 스토어에 물건을 올려놓기를 며칠째 지나다 보면, 마음속에서 이게 될까 하는 의구심과 실망감이 스멀스멀 기어 나온다. 역시나 난 안되나 보다라며 자책을 하다가 핸드폰에 깔려있는 스마트스토어센터에 알림이 오는 순간의 떨림, 그리고 짜릿함은 경험해본 사람만이 알 것이다. 사실 스마트 스토어에 올리는 물건이 내 물건도 아니고 그렇게 공들여 쌓은 키워드가 아니라지만, 판매가 안될 때 상실감은 인생의 쓴맛만큼이나 쓰다. 그러다 포기할 때쯤 울리는 첫 주문 주문 알림은 이것이 인생이구나라는 달콤함과 또 경험을 하고 싶다는 강력한 소망에 다시 한번 힘을 내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스마트 스토어 알림메세지를 받은 직후의 떨림은 발주를 넣을 때도, 발주 확인을 할 때도, 배송확인을 넣을 때까지도 계속되고 한참을 설.. 2022.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