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핑을 떠나는 것도 좋지만 가서 캠핑의 즐거움은 그게 다가 아니다. 여행의 즐거움에 식도락이 빠질 수가 없으니 캠핑과 음식이 만난다면 그로 인한 즐거움이 배로 커지고 주변 사람들과 같이 한다면 더없이 행복한 캠핑이 될 것임을 장담한다. 요리를 잘하는 사람이야 알아서 준비하면 되겠지만, 요리실력이 부족하지만 즐겁게 놀다 올 수 있는 캠핑 음식을 준비해야 한다면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캠핑 음식에 빠질 수 없는 가장 1순위
누가 뭐라 해도 1순위는 고기라고 생각한다. 돼지고기, 소고기를 떠나서 캠핑장에서 숯불 위에 구워 먹는 고기를 생각만 해도 도파민이 분비되고 지금 당장이라도 캠핑을 떠나고 싶게 만든다. 좋은 고기가 맛있는 건 당연하지만, 야외에서 구워 먹는 고기는 약간 저렴해도 최고의 맛을 내는 부위가 있으니 돼지고기 중에서도 캠핑 음식으로 추천해 줄 만한 부위는 앞다리살이다. 족발을 사 먹더라도 뒷다리(후지)는 싸고 맛이 없어서 잘 먹지 않는 부위지만, 앞다리(전지)는 더 비싸고 맛있게 먹는 부위이다. 따라서 캠핑을 갈 때 한 끼 정도는 앞다리살을 준비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삼겹살에 비해 싸다고 해서 맛까지 떨어지지 않는다. 워낙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삼겹살을 좋아하기 때문에 그 부위가 특별히 비싸지만 다른 나라에서는 잘 먹지 않는 부위라는 건 다들 아는 사실.
현재 앞다리살(전지)의 시세는 냉장육의 경우 오늘자 기준으로 도매가가 kg당 최저 5,870원부터 9,580원으로 조회가 된다.
삼겹살도 미박삼겹살(오겹살), 암퇘지 삼겹살, 국내산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한 시세로 조회가 가능한데, kg당 대략 18,000원 정도라고 본다면 앞다리살은 삼겹살에 비해 50% 저렴한 가격으로 구할 수 있으므로, 아직 삼겹살만 먹어본 캠퍼라면, 앞다리살도 도전해본다면 절대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각종 고기 시세는 미트박스(https://www.meatbox.co.kr/fo/sise/siseListPage.do)에서 확인을 할 수 있다.
캠핑장에서 고기를 구울 때 연기와 싸우면서 고기를 굽는 것도 추억일 수 있지만, 되도록이면 연기가 나지 않도록 그리고 고기가 불에 닿아 타지 않도록 주의를 하면서 고기를 굽도록 하자. 캠핑장에서 탄 고기든 덜 익은 고기든 무엇을 먹어도 맛있긴 하지만, 그래도 건강을 위해서 적당히 잘 구워진 고기가 더 맛도 좋고 몸에도 좋다.
숯불에 고기를 구울 때 불쇼를 피하면서 연기가 덜 나게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우선 전제조건은 숯불이 고기를 구워먹을 만큼 충분히 하얗게 될 정도로 숯을 태워야 한다. 숯불이 너무 센 경우에는 고기를 무조건 태울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첫번째로 기름이 안 떨어지게 하는 방법이 있다. 숯불 위에 기름이 떨어지면서 그 기름으로 인해 화력이 세지고 불이 붙어서 고기를 태워먹는다. 구멍이 뚫리지 않은 철판이나 프라이팬을 이용하는 방법인데, 이럴 거면 굳이 숯불에다 구워 먹어야 할 필요가 있을지 의문이다.
두 번째는 연통이 달린 화로대에 고기를 구워 먹는 방법이다. 기름과 연기가 모두 연통을 통해 날아가기 때문에 불쇼를 쉽게 피할 수 있어서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는데, 세팅하는데 손이 좀 많이 가는 편이다.
마지막 세번째 방법은 고기 음식점에서 쓰는 방법인데, 물이 담긴 쟁반 위에 숯불을 올려놓고 그 위에 고기를 굽는 방법이다. 숯에 불이 붙을 때 쟁반에 담긴 물이 수증기로 변하여 증발하면서 숯에 불이 붙는 것을 억제한다. 숯의 뜨거움은 살아 있어서 고기를 구울 때 태우지 않고 구울 수 있는데, 이러한 아이디어를 이용하여 캠핑장에서 태우지 않고 고기를 구워 먹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고기를 이용한 캠핑 요리는 무궁무진하다. 그 중에 한 가지로 돼지고기를 선택한다면 앞다리살로 저렴하게 숯불에 구워 먹는 방법을 한번 도전해 보는 것은 어떨까.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캠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캠핑용 무선 선풍기 추천 및 실사용기 (0) | 2022.08.08 |
---|---|
캠핑용 유선 선풍기 추천 및 실사용기 (0) | 2022.08.08 |
캠핑용 코펠 추천 및 사용기 (0) | 2022.07.30 |
어반사이드 화로대 감성캠핑 필수품(내돈 내산) (0) | 2022.06.04 |
여름캠핑시 음식 보관은 어디에 하는 것이 효율적일까 (0) | 2022.06.01 |
댓글